search for




 

Assessment of Urinary Naltrexone and 6β-naltrexol Corrected with Creatinine for Monitoring Medical Treatment
Yakhak Hoeji 2022;66(2):97-103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 2022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Yeong Eun Sim*,**, Seon Yeong Kim*, Jae Chul Cheong*, Hyun Soo Lee***, Jaesung Pyo**,#, and Jin Young Kim*,#

*Forensic Genetics & Chemistry Division, Supreme Prosecutors’ Office
**College of Pharmacy, Kyungsung University
***College of Software Convergence,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in Young Kim, Forensic Genetics & Chemistry Division, Supreme Prosecutors’ Office, Seoul 06590, Republic of Korea
Tel: +82-2-535-4173 Fax: +82-2-535-4175
E-mail: paxus@spo.go.kr

Jaesung Pyo, College of Pharmacy, Kyungsung University, Busan 48434, Republic of Korea
Tel: +82-51-663-4881 Fax: +82-51-663-4809
E-mail: jspyo@ks.ac.kr

#These corresponding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Received February 24, 2022; Revised April 6, 2022; Accepted April 26, 2022.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ct naltrexone (NTX) and its metabolite 6β-naltrexol (6βNTX) in the urine samples of parolees or probationers who were legally bound to participate in an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to follow the medical treatment ordered by the court. The develope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 was suitable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NTX as well as its active metabolite 6βNTX in urine samples. The ratio of creatinine to the analyte ([analyte, ng/mL]/[creatinine, mg/dL]) was used to exclude inaccuracies caused by urine dilution, and this value was further corrected by the average urine creatinine concentration in Korean adults (male 132.6 mg/dL, female 93.3 mg/dL). The cut-off values for NTX and 6βNTX were set at 10 ng/mL. If both the parent drug and its metabolite were found in urine and the corrected creatinine concentrations of NTX and 6βNTX were more than 10 ng/mL, it was consider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following their treatment protocol accordingly. The results showed that 81 (94.2%, male 69 and female 12) of 86 participants were taking NTX, whereas five (four males, one female) were not adhering to the protocol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four male participants (4.9%) of the 81 participants who were taking the drug initially had urinary NTX and 6βNTX concentrations below the cut-off level without correcting creatinine level, but the values met the acceptance criteria (i.e., >10 ng/mL) of the medical treatment program after correcting the creatinine level.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other drugs in the future.
Keywords : Naltrexone, 6β-naltrexol, Cut-off value, Creatinine concentration, LC-MS/MS
서론(Introduction)

알코올 사용 장애는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알코올로 인하여 유발되는 정신행동장애이다. 알코올사용 장애는 각종 질병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며 가정의 경제적곤란, 학대 등 가족의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살인 등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동기가 되는 질환이다.1) 대검찰청 ‘2021범죄분석’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총 805건의 살인범죄가 발생하였고, 이 중 검거된 살인범죄자의 37.6%가 주취상태였으며, 13세 미만 아동대상 성폭력범죄는 총 1,155건으로 이들 성범죄자의 11.7%가 주취상태였다.2) 음주와 범죄유형별 관련성 연구에 따르면 폭력과 강간 등 강력범죄와 관련성이 높다고 보고된다 .범행 당시 주취상태인 경우 주취상태가 아닌 경우에 비해 강력범죄를 저지를 위험성이 약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에서도 주취상태인 경우 범죄의 발생 가능성이 약 9배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3)

주취상태 및 정신장애 관련 범죄가 부각되면서 법무부는 치료를 통해 범죄 방지를 목적으로 치료명령제도를 도입하였다. 치료명령제도는 국가가 개입하여 범죄자의 약물치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반복적인 범죄 혹은 더 큰 범죄를 방지하고자 하는 제도이다.4) 치료명령을 받은 범죄자가 처방 받은 약물을 정상적으로 복용하고 있는지 범죄자의 소변에서 주기적으로 약물검사를 수행하여 치료명령 이행 여부를 확인한다. 주기적인 약물검사는 치료 도중 임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 행위를 선제적으로 방지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볼 수 있다.5)

알코올 사용 장애의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는 지속적인 약물치료이다. 알코올 사용 장애 치료약물 중 처방빈도가 높은 약물인 날트렉손은 오피오이드(opioid) 길항 작용을 통해 알코올의 긍정적 강화효과를 감소시켜 알코올의 사용을 억제한다. 날트렉손(naltrexone, NTX)은 단주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재발의 비율과 심각성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약물이다.6) NTX는 간에서 대사되어 활성대사체인 6β-날트렉솔(6β-naltrexol, 6βNTX)을 생성한다. NTX보다 6βNTX이 더 긴 반감기를 가지므로 대체로 소변 중 6βNTX의 농도는 NTX의 농도보다 높다.7)

크레아티닌은 크레아틴의 최종 대사산물로 소변으로 주로 배설된다. 크레아티닌은 하루 동안 비교적 일정하게 배설되며 생성된 크레아티닌의 양은 개인의 근육 량에 비례한다. 소변 생성은 수분의 섭취 또는 손실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소변 중 크레아티닌 농도는 소변 희석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8) 일반적으로 소변 중 크레아티닌 농도는 측정된 분석물질의 농도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정된 값은 관심 분석물질의 농도를 동일한 소변시료에서 얻은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누어 계산한다.9)소변 중 크레아티닌 농도는 성별, 연령, 인종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일례로 육류 섭취가 많은 미국인의 경우 한국인보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소변 중 한국인 남자의 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는 132.6 mg/dL이고, 여자의 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는 93.3 mg/dL이다.10) 소변 중 크레아티닌 농도가 2mg/dL 이상 20 mg/dL 미만이고 비중이 1.001-1.003 범위 사이일 경우 희석소변으로 간주하고, 극히 비정상적인 비중(≤1.001 또는 ≥1.020)을 갖고 크레아티닌 농도가 2 mg/dL 미만인 경우 대체소변으로 간주한다.1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소변이 너무 희석(크레아티닌 농도 <30 mg/dL)되거나 너무 농축(크레아티닌 농도 >300 mg/dL)된 경우 시료를 다시 채취하는 것을권고하고 있다.12)

소변 중 날트렉손 및 날트렉솔 분석을 위해 고체상 추출방법 (solid phase extraction), 희석(dilution), 침전(precipitation)을 이용한 전처리 방법이 사용된다. 처리된 시료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 액체크로마토그래프-이중질량분석기(LC-MS/MS),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C-MS)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정성·정량분석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극성이 높은 물질 분석에 유용하고 유도체화 과정을 포함하지 않아 전처리 시간 단축이 가능한 LC-MS/MS가 주로 사용된다.7,13-17)

치료명령 대상자의 정상적인 약물 복용은 재범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사회 복귀를 돕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약물 검사를 통해 얻어진 정량·정량 결과만으로는 정상적인 복용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복용과 비정상적인 복용여부를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구분한 수 있는 기준값 (cut-off value) 설정이 필요하다.5)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의존증 치료명령을 받은 대상자 소변 중 측정된 분석대상 물질의 농도를 크레아티닌 수치로 나눈 후 한국 성인의 평균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모약물과 대사체의 검출 여부 및 크레아티닌 수치로 환산된 농도 값을 적용하여 알코올의존증 치료약물의 복용 여부를 명확히 판정할 수 있었다.

방법(Methods)

시약 및 기구

표준물질로 사용된 NTX, 6βNTX와 내부표준물질로 사용된 날트렉솔-d3 (6βNTX-d3)은 Cerilliant사(Austin, TX, USA)에서 구입하였다. 표준용액 및 내부표준용액은 용도에 맞게 순차 희석하여 제조하였으며 사용 전까지 −20°C에서 보관하였다. 메탄올은J. T. Baker/Avantor사(Center Valley, P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증류수는 Milli-Q water purification system을 통과한 3차 탈이온수를 사용하였다. 수소이온 농도 조절을 위해 사용된 HPLC grade의 formic acid는 Sigma-Aldrich사(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분석 대상 소변 시료

알코올의존증 치료약물 복용자의 소변 시료는 가종료 대상자와 치료명령 대상자의 소변으로 2021년 수도권(서울, 인천 등), 경남 지역 보호관찰소에서 의뢰된 86명의 소변 시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19~66세였으며, 성별에 따라 구분하면 남자 73명(84.9%), 여자 13명(15.1%)이었다. 소변 시료는4°C에서 보관하였으며, 2주 이내 분석을 완료하였다.

분석 장비

크레아티닌 분석을 위해 면역반응분석 장비인 Cobas C311 analyzer (Roche, Hitachi)에 creatinine Jaffé gen.2 assay (CREJ2, Roche/Hitachi) 시약을 넣어 측정하였다. LC-MS/MS는 Agilent 1260 infinity LC system (Palo Alto, CA, USA)과 AB Sciex QTRAP 4500 MS system (Foster City, CA, USA)이 결합된 장비를 사용하였다. 분석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Scherzo SM-C18 (2.0×100 mm, 3 µm, Imtakt, Japan) 분리관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0.05% formic acid가 포함된 증류수(이동상 A)와 메탄올(이동상 B)을 이용하였으며 유속은 0.2 mL/min로 설정하였다. 기울기 용매 조건은 0분에서 3분까지 이동상 B를 5%로 유지하였고, 3분에서 5분까지 이동상 B를 40%로 증가시켜 7분까지 유지하였으며, 다시 7분에서 10분까지 이동상 B를 95%로 증가시켰다. LC 분리관의 안정화를 위해 이동상 B를 10.5분까지 5%로 설정하고 20분까지 유지하였다. 이때 분리관 온도는 25°C, 시료자동주입기의 온도는 10°C로 유지하였다.

질량분석기는 전자분무 이온화(ESI)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 모드로 설정하였다. Ion spray voltage는 5500 V, ion source temperature는 550°C, ion source gases 1과 2는 각각 55와 50 (arbitrary unit), curtain gas는 30 (arbitrary unit), collision gas는medium (arbitrary unit)으로 설정하였다. 정성·정량분석을 위해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모드를 사용하였으며, 모이온(precursor ion)의 조각화(fragmentation)를 위한 충돌기체(collision gas)로 질소를 사용하였다. MRM 이온쌍으로 분석물질의 경우1개의 정량이온쌍과 2개의 정성이온쌍을 선정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의 경우 1개의 정량 이온쌍을 선정하였다. NTX의 MRM 이온쌍은 m/z 342→324, m/z 342→270, m/z 342→212, 6βNTX는m/z 344→308, m/z 344→254, m/z 344→326이었으며, 내부표준물질인 6βNTX-d3는 m/z 347→254로 설정하였다.

시료 전처리

소변 시료 100 μL에 40 ng/mL의 농도로 내부표준물질(6βNTX-d3)이 포함된 메탄올 300 μL를 넣고 30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하였다. 이후 30000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200 μL를 취하여 건고시켰다. 잔사에 메탄올:증류수:포름산 (1:9:0.1, v/v/v) 용액 100 μL를 넣고 재용해한 후, LC-MS/MS에 5μL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법 유효성 평가

선택성과 정량한계는 서로 다른 10개의 바탕시료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정량 범위로 소변 중 NTX는 1-100 ng/mL, 6βNTX는 5-1000 ng/mL가 되도록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작성하였다.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에 대한 분석물질의 피크 면적 비로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이때 적용된 가중계수 (wi )는 1/x2이었다. 일내(intra-day), 일간(inter-day) 정밀도 및 정확도를 측정하여 분석법의 재현성(repeatability)을 확인하였다. 정밀도, 정확도,회수율 및 기질효과는 4개 농도(최저정량한계, 저 농도 QC, 중간 농도 QC, 고 농도 QC)로 시료를 제조하여 각 농도별로 5개씩 3회 반복 측정하였다. 희석무결성은 중간 농도 및 높은 농도에 해당하는 QC 시료를 5, 10, 20, 40배로 희석하여 평가하였다. 희석된 시료는 5개의 등분체로 나누어 전처리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소변 내 분석물질의 안정성은 저농도 및 고농도에 해당하는 QC 시료를 각각 3개씩 제조한 뒤 측정하였다. Bench-top 안정성은 상온에서 24시간까지 평가하였고, 장기 안정성(long-term stability)은 최대 21일 동안 4°C 냉장 보관 뒤 평가하였다. 자동시료주입기 안정성(autosampler stability)은 시료가 든 바이알을 10°C에서 4일 보관한 후 다시 주입하여 평가하였다.

측정값의 보정

소변 중 NTX와 6βNTX의 측정 농도를 동일한 소변에서 측정한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눈 후 한국인의 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남자 132.6 mg/dL, 여자 93.3 mg/dL)10를 곱하여 보정된 농도값을 계산하였다.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분석물질 확인

소변 시료에서 NTX와 대사체 6βNTX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RM 크로마토그램 상 피크 높이 비의 허용 범위를 구하였다. 분석물질을 바탕시료에 첨가한 QC 시료 등분체와 실제 약물 복용 시료(n=78)를 분석하여 구한 정량 이온쌍 피크 높이 대비 정성이온쌍 피크 높이 비를 구한 평균값의 ±30% 이내로 하였다18.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물질 및 내부표준물질에 대한 이온쌍 및 질량분석기 변수 조건 등의 세부 사항은 Table 1에 표시하였고, 질량 스펙트럼 및 크로마토그램은 각각 Fig. 1Fig. 2에 나타내었다. 하나의 정량이온쌍 대비 두 개의 정성이온쌍의 피크 높이 비를 구한 결과는 Table 2에 표시하였다.

Retention time (RT), MRM transitions, and mass spectrometric parameters

Compound RT (min) Precursor ion (m/z) Product ion (m/z) DPa (V) EPb (V) CEc (V) CXPd (V)
NTX 7.86 342 324 81 10 29 8
270 81 10 39 10
212 81 10 57 14
6βNTX 8.08 344 308 76 10 39 10
254 76 10 43 10
326 76 10 29 12
6βNTX-d3 8.06 347 254 66 10 47 14

aDeclustering potential, bentrance potential, ccollision energy, dcollision-cell exit potential



MRM transitions for the analytes, MRM ratios and acceptable ratio ranges

Compound MRM 1 MRM 2 Ratio (mean) Acceptable ratio range (±30%)
NTX m/z 342→324 m/z 342→270 5.5 3.8-7.1
m/z 342→212 8.1 5.6-10.5
6βNTX m/z 344→308 m/z 344→254 1.4 1.0-1.8
m/z 344→326 0.2 0.2-0.3


Fig. 1. Product ion spectra of (A) NTX, (B) 6βNTX, and (C) 6βNTX-d3.

Fig. 2. Representative LC-MS/MS chromatograms of (a) blank urine, (b) spiked urine containing 50 ng/mL of 6βNTX, and 10 ng/mL of NTX, and (c) NTX positive urine samples.

분석법 유효성 평가

본 연구의 LC-MS/MS 분석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해 선택성, 검출한계, 검량선, 정밀도, 정확도, 희석무결성 및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선택성 확인을 위해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소변 시료(n=10)를 분석한 결과, 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물질은 찾아볼 수 없었다. 설정된 정량범위에서 분석물질에 대한 가중계수1/x2에서 검량선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결정계수(r2)는 0.994 이상이었다.

NTX와 대사체 6βNTX의 검출한계는 모두 0.3 ng/mL, 최저 정량한계는 각각 1, 5 ng/mL로 확인되었다. 최저정량한계 시료에서 측정한 일내(intra-day)와 일간 (inter-day) 정확도는 −7.8-7.8%,정밀도는 15.2% 이내 이었으며, 저·중·고 농도의 QC 시료에서측정한 일내와 일간 정확도는 −7.3-11.4%, 정밀도는 10.1% 이내였다. 최저정량한계, 저·중·고 농도의 QC 시료에서 회수율은86.9-104.2%, 기질효과는 49.0-89.2%였다(Table 3). 희석무결성 확인을 위해 QC 시료를 5~40배로 희석하여 분석한 결과, 정확도는 −8.3-1.8%, 정밀도는 8.3% 이내로 측정되었다. 정확도와 정밀도 측정값 모두 ±15% 사이와 15% 이내의 값을 갖는 양호한결과를 얻었다(Table 4). 시료자동주입기(10°C)에서 4일, 상온에서 24 시간, 4°C에서 21 일까지 시료 내 분석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7.3-9.6%의 편차를 나타내고 있어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Table 5).

Intra- and inter-day accuracy and precision, recovery (RE), and matrix effect (ME)

Compound QC Sample (ng/mL) Intra-day (n=5) Inter-day (n=15) RE (n=6) % ME (n=6) %
Accuracy (% Bias) Precision (% CV) Accuracy (% Bias) Precision (% CV)
NTX 1 7.5 6.5 7.8 6.8 95.9 52.2
3 -2.3 6.7 -5.3 5.2 86.9 49.0
20 -2.2 6.3 -3.8 6.8 103.0 50.3
80 11.4 1.1 8.3 5.3 93.1 52.0
6βNTX 5 -7.8 9.5 -2.7 15.2 95.0 89.2
15 -7.3 7.2 -1.0 10.1 88.6 88.1
250 -4.3 5.3 -0.7 7.6 103.9 77.6
800 0.1 4.3 -4.4 6.7 104.2 71.7


Dilution integrity (n=5)

Compound Concentration before dilution (ng/mL) Dilution factors Concentration after dilution (ng/mL) Determined concentration (ng/mL) Accuracy (% Bias) Precision (% CV)
NTX 20 10 2 2.0 -1.4 4.9
5 4 4.0 0.5 8.0
80 40 2 1.9 -5.4 3.2
20 4 3.7 -7.1 5.3
10 8 7.3 -8.3 5.2
6βNTX 250 10 25 25.2 0.9 8.3
5 50 50.9 1.8 8.1
800 40 20 19.0 -5.2 7.9
20 40 39.6 -1.1 4.5
10 80 76.8 -4.0 7.3


Stability of the analytes (n=3)

Compound Concentration (ng/mL) Autosampler stability (%) (10°C for 4 d) Bench-top stability (%) Long-term stability (%)
(Room temp. for 24 h) (4°C for 7 d) (4°C for 21 d)
NTX 3.0 -3.3 4.5 -0.4 -6.0
80.0 0.1 2.0 0.7 -2.1
6βNTX 15.0 -4.3 -7.3 -4.9 -4.0
800.0 -0.7 8.0 9.6 3.5


실제 시료 분석

보호관찰대상자 소변 시료에 대해 설정한 전처리·기기분석 방법에 따라 NTX와 그 대사체 6βNTX를 분석하였다.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크레아티닌 농도 <20 mg/dL인 소변은 희석소변으로 간주되어 제외하였으며, 크레아티닌 농도 >300 mg/dL인소변은 크레아티닌 유효농도범위를 넘어 제외하였다.11,12) 크레아티닌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의 소변은 총 86개였으며, 남자(n=73)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123.0±68.4 mg/dL, 여자(n=13)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129.7±72.7 mg/dL로 측정되었다.

소변 중 NTX의 측정 농도는 남자의 경우 418.0±679.7 ng/mL,여자의 경우 459.1±558.8 ng/mL이었다. 소변 중 대사체 6βNTX의 측정 농도는 남자의 경우 4568.5±6273.2 ng/mL, 여자의 경우6908.2±10843.0 ng/mL이었다. 남자, 여자 모두 소변 중 대사체 6βNTX의 농도가 모약물 NTX의 농도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대상자가 많은 양의 물을 마셔 소변으로 배출되는 NTX와 6βNTX의 양이 희석되어 과소평가 될 경우를 보정하기 위해 소변 중NTX와 6βNTX의 측정된 농도를 동일한 소변에서 측정한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눠주었으며, 이 값을 한국인의 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남자의 경우 132.6 mg/dL, 여자의 경우 93.3 mg/dL)10)로 곱하여 한국인의 크레아티닌 평균 농도로 보정한 최종 농도값을 구하였다. 보정된 NTX의 농도는 남자의 경우 551.5±934.7 ng/mL, 여자의 경우 497.1±645.1 ng/mL이었고, 보정 6βNTX 농도는 남자의 경우 5655.8±7800.4 ng/mL, 여자의 경우 7666.9± 11111.8 ng/mL이었다(Table 6).

The urinary naltrexone and 6β-Naltrexol level (n=86)

Compound Group Sample Minimum Maximum Mean±SD Median
Creatinine (mg/dL) M 73 21.2 320.5 123.0±68.40 103.9
F 13 24.8 372.5 129.7±72.70 120.9
NTX (ng/mL) M 73 1.6 978.2 418.0±679.7 150.6
F 13 1.5 1457.2 459.1±558.8 252.3
Reduced NTXa (ng/mL) M 73 2.7 1417.4 551.5±934.7 159.4
F 13 1.1 1673.3 497.1±645.1 242.7
6βNTX (ng/mL) M 73 7.3 14925.8 4568.5±6273.2 1133.8
F 13 9.9 25834.8 06908.2±10843.0 1092.9
Reduced 6βNTX (ng/mL) M 73 15.4 16622.8 5655.8±7800.4 2179.9
F 13 7.2 38135.6 07666.9±11111.8 713.1
Frequency of taking drugsb M 69 - - - -
F 12 - - - -

a[analyte, ng/mL]/[creatinine, mg/dL]*[average urinary creatinine for Korean adults, mg/dL].

bNumber of samples with reduced concentrations exceeding the cut-off values. The cut-off values for NTX and 6βNTX were set to 10 ng/mL.



날트렉손 복용여부 판정

알코올의존증 약물인 NTX를 처방 받은 치료명령 대상자 86명(남자 73명, 여자 13명)의 소변을 사용하여 복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복용여부 판정은 소변 중 측정된 NTX과 6βNTX 농도를 동일 소변에서 측정된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눈 후 한국 남여의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를 곱한 보정된 농도값으로 판정하였다. Cao 등이 선행한 연구를 참고하여 NTX과 6βNTX의 판정 기준값(cut-off)을 10 ng/mL로 정하고 모약물 NTX과 대사체 6βNTX이 모두 검출되고 이들 약물의 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복용했다고 판정했다.13) 치료명령 대상자 86명 중 81명(남자 69명,여자 12명)만 약물을 복용하였다. 약물 복용자 81명 중 4.9%에해당하는 남자 4명은 측정값으로 복용여부를 판정하였을 때는 미복용 판정을 받았으나 최종 보정된 농도값을 적용하였을 때는 복용 판정을 받았다(Table 7).

Cases of change of test results based on urinary creatinine levels

Sample Creatinine (mg/dL) NTX Reduced NTX 6βNTX Reduced 6βNTX
Conc' (ng/mL) Test result Conc' (ng/mL) Test result Conc' (ng/mL) Test result Conc' (ng/mL) Test result
A 24.3 3.4 Negative 18.4 Positive 218.8 Positive 1193.7 Positive
B 62.8 5.2 Negative 10.9 Positive 7.3 Negative 15.4 Positive
C 104.4 8.5 Negative 10.7 Positive 1123.8 Positive 1427.4 Positive
D 82.9 6.3 Negative 10.0 Positive 1726.8 Positive 2762.1 Positive

결론(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하여 알코올의존증 치료명령은 받은 대상자의 소변에서 치료약물 NTX의 복용여부를 판정하였다.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84.9% (73명), 여자가15.1% (13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19-66세이었다. 남자의 크레아티닌 평균 농도는 123.0 mg/dL으로 여자의 크레아티닌 평균농도인 129.7 mg/dL 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남자에 비해 여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두 그룹 간 크레아티닌 평균 농도를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치료명령 대상자의 날트렉손 복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약물 NTX와 대사체 6βNTX가 판정 기준값인10 ng/mL 이상의 농도로 모두 검출되면 약물을 복용했다고 판정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소변 중 NTX과 6βNTX의 측정값을 동일한 소변에서 측정한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눈 후 한국인의 평균 크레아티닌 농도로 곱하여 평균화한 최종 보정값을 사용하여 복용 여부를 판정했다. 치료명령 대상자 86명 중 81명(남자 69명, 여자 12명)만 약물을 복용하였다. 소변 중 NTX과6βNTX의 측정값을 최종 보정값으로 변환시켰을 때 판정 기준값 미만으로 미복용 판정을 받았던 4명의 남자 대상자가 약물복용 판정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변 중 모약물과 대사체의 단순 측정값이 아닌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한 보정값으로 변환해 치료 약물의 정상적인 복용과 비정상적인 복용을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향후 다른 대상 약물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모든 저자는 이해 상충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선언한다.

References
  1. Lee BH, Kim HS, Seo JS, Shin YC, Ki SW, Kim SG, Joe KH, Lee KS, Choi SW, Chon YH, Roh SW, Oh HS, Yoon HG, Han CW, Jo SJ, Kim DJ, Park AR, Lee SB, Lee HK (2013) Korean Addiction Treatment Guidelines Series (I): Development of Korean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lcohol use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2: 263-271.
    CrossRef
  2. Supreme Prosecutors’ Office (2021) 2020 Analytical Statistics on Crime of Republic of Korea. https://www.spo.go.kr/site/spo/crimeAnalysis.do. Accessed 20 Feb 2022.
  3. Kim J, Kim MS, Kim Y (2020)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idivism of drunken offenders. J Sci Crim Invest 14: 124-133.
    CrossRef
  4. Kim BS (2019)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l for Treatment Order. Law Rev. 60: 195-217.
    CrossRef
  5. Kim SY, Shin DW, Kim JY (2021) Determination of cut-off value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norquetiapine and 9-hydroxyrisperidone concentrations in urine measured by LC-MS/MS. Anal Sci Technol 34: 78-86.
  6. Lee KS (2012) Treatment of alcohol use disorder. J Korean Diabetes 13: 85-90.
    CrossRef
  7. Liu JC, Ma JD, Morello CM, Atayee RS, Best BM (2014) Naltrexone metabolism and concomitant drug concentrations in chronic pain patients. J Anal Toxicol 34: 212-217.
    Pubmed CrossRef
  8. Tkaczyk A, Jedziniak P (2020) Dilute-and-shoot HPLC-UV method for determination of urinary creatinine as a normalization tool in mycotoxin biomonitoring in pigs. Molecules 25(10): 2445.
    Pubmed KoreaMed CrossRef
  9. Hou H, Xiong W, Zhang X, Song D, Tang G, Hu Q (2012) LC-MS-MS measurements of urinary creatinine and the application of creatinine normalization technique on cotinine in smokers’ 24 hour urine. J Anal Methods Chem 2012: 245415.
    Pubmed KoreaMed CrossRef
  10. Lee JH, Ahn RM (2010) Relevance of gender, age and the body mass index to changes in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 in Korean adults. J Env Health Sci 36: 215-221.
    CrossRef
  11. Chaturvedi AK, Sershonm JL, Craft KJ, Cardona PS, Soper JW, Canfield DV, Dubowski KM, Whinnery JE, Leyva MJ, Aston CE, Blevins SM, Wright JE, Fraser AD, Kuntz DJ (2013) Effects of fluid load on human urine characteristics related to workplace drug testing. J Anal Toxicol 37: 5-10.
    Pubmed CrossRef
  12. Barr DB, Wilder LC, Caudill SP, Gonzalez AJ, Needham LL, Pirkle JL (2005)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the U.S. population: implications for urinary biologic monitoring measurements. Environ. Health Perspect 113: 192-200.
    Pubmed KoreaMed CrossRef
  13. Cao Z, Kaleta E, Wang P (2015)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78 drugs and metabolites in urine with a dilute-and-shoot LC-MS-MS assay. J Anal Toxicol 39: 335-346.
    Pubmed CrossRef
  14. Krock K, Pesce A, Ritz D, Thomas R, Cua A, Rogers R, Lipnick P, Kilbourn K (2017) Lower cutoffs for LC-MS/MS urine drug testing indicates better patient compliance. Pain Physician 20: E1107-E1113.
    CrossRef
  15. Valiveti S, Nalluri BN, Hammell DC, Paudel KS, Stinchcomb AL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naltrexone and 6β-naltrexol in guinea pig plasma. J Chromatogr B 810: 259-267.
    CrossRef
  16. Slawson MH, Chen M, Moody DE, Comer SD, Nuwayser ES, Fang WB, Foltz RL (2007) Quantitative analysis of naltrexone and 6β-naltrexol in human, rat, and rabbit plasma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with application to the pharmacokinetics of Depotrex® in rabbits. J Anal Toxicol 31: 453-461.
    Pubmed CrossRef
  17. Mehrdad R, Khosrou A, Rassoul D. Sanaz VG, Mohsen A (2009) A simple and sensitive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naltrexone level in plasma by GC-MS. Chromatographia 70: 1491-1494.
    CrossRef
  18. Elliott SP, Stephen DWS, Paterson S (2018)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association of forensic toxicologists forensic toxicology laboratory guidelines. (2018) Sci Justice 58: 335-345.
    Pubmed CrossRef


April 2022, 66 (2)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